최근 바이든 정부와 정당의 블루웨이브가 형성되면서 대형주는 횡보하고 코로나 이후로 재정이 안좋아져 꾸준히 떨어져온 소형주인 센트주~20달러 미만의 주식들이 폭등하는 일이 빈번하다. 이러한 폭등하는 주식을 사는것은 순식간에 막대한 수익률을 올려줄수 있지만 제때 매도하지 못하면 순식간에 막심한 손해를 볼수도 있다. 말그대로 개미 당하는 것이다... 개미 당하지 않기 위해 우리는 어떨때 매수하고 언제 매도하는게 좋을지 기준을 세워봅시다.
*매수시점 잡기*
1. 충분히 바닥을 다지거나, 지지층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산다.(떨어지는 칼날을 붙잡지 않기)
주식이 급락하는 경우에는 다 충분한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급락하는 경우 물려버린 사람들이 손절을 많이 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하락할수 있습니다. 많이 떨어졌으니 다음날 올라가겠지? 하다가 지하를 볼 수 있습니다.
2. 거래량이 충분히 나오는 회사를 산다.
아무리 좋은 회사라도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면 그건 아무런 가치가 없습니다. 테슬라라는 회사가 현재 세계 유명 자동차 기업의 시총 여럿을 합친거보다 크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계속해서 올라요. 왜그럴까요? 수많은 기업들이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데도 말이죠. 주식이 정말 회사의 가치를 투영한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입니다. 주식은 인기 콘테스트 입니다.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고 거래량이 많을수록 실제 가치보다 더 주가가 치솟을수 밖에 없죠.
3. 미래가망성이 있는 혹은 새로운 혁신과 꿈이 있는 회사를 사기
잡주도 아무 잡주나 급등하지 않습니다. 미래가능성이 있고 사람들에게 이 주식이 향후 20달러를 넘어서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을것이라 생각이 드는 회사가 사람들을 유혹해 돈이 모이게 합니다.
4. 이미 급등했을때 사지 않기
급등하고 나면 급등할때 샀던 단타꾼들이 수익실현을 위해 애프터 혹은 다음날에 많이 던집니다. 급등하고 나서 회사에 대해 알아봤는데 충분히 더 오를 가치가 있다고 생각이 된다면 충분히 지지해주는 세력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들어갑시다.
5. 과거 이미 급등한적 있던 주식을 사기
과거에 급등을 한적이 있다면 두가지 경우로 나뉩니다. 주가를 끌어올리는 물주가 있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동될 경우 급등할 재료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6. 전체포트폴리오에서 잡주 비중은 10% 넘기지 않기
잡주는 큰 돈을 가져다 주지만 그만큼 큰 돈을 잃을수도 있습니다. 잡주의 비중이 높은 경우 멘탈관리가 좋지않고, 매일매일 장을 들여다봐야하는 스트레스가 있기 때문에 비중을 10%넘기지 않고 종목도 3~5개정도만 관리하는게 좋습니다.
7. 반드시 분할 매수 하기
잡주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사자마자 하락할 경우 멘탈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반드시 분할 매수해서 오르면 올라서 기분좋고 떨어지면 싸게 살수 있다는 멘탈케어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8. CEO, CFO등 최고책임자가 1~3년 사이 바뀐 경우
최고책임자가 바뀐 경우 이 회사에 있던 기존의 어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일것입니다. 바뀐 사람의 커리어를 보고 충분히 매력이 있다고 생각든다면 좋은 매수가 될것입니다.(ceo가 바뀌고 어닝이 좋게 바뀌며 급등하는 것을 기대) CEO가 리사 수로 바뀌고 주가가 반등했던 대표적인 주식에 AMD가 있죠. 2달러 언저리에 있던 주가가 지금은 90이 넘는 주식입니다 ㅎㅎ
9. 충분한 자본이 있는 회사를 산다
자본이 충분하지 않은 회사에서 주식이 급등하는 경우 유상증자를 하면서 찬물을 끼얹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잡주는 대부분 적자기업이기 때문에 자본이 탄탄해야하는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10. 유증을 주기적으로 하며 회사가 살아남는 회사는 사지 않는다.
유증을 하는 경우 계속해서 주식의 발행수가 증가하며 주가에 악영향을 줍니다. 이런 회사는 지속적으로 우하향하며 나스닥 상장유지 조건을 맞추기 위해 주식합병으로 연명하는 회사입니다. 자칫하면 크나큰 손실을 입을 수 있으니 사지 않습니다.
11. 폭락할때 물타기하지 않기
폭락할때 물을 타는 경우 주가가 반등하면 평균매수 단가가 낮아지며 더 빠른시점이 수익구간이 되지만 주가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주식 또는 우하향하는 주식인 경우 절대로 물타기를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만약 반등없이 계속해서 우하향할 경우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만 날것입니다. 오히려 폭등할때 이 주식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물타는것이 더 좋은 방법입니다.
12. Vanguard 보유 지분이 있는 회사 사기
뱅가드는 대표적으로 VTI, VOO라는 ETF를 운용하고 있는 회사이며, 꾸준히 우상향하며 연간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미국에서 가장 많은 자금이 몰리는 ETF입니다. 여기서 VBR(Vanguard Small-Cap Value Index Fund ETF)이라고 저평가된 작은 주식과 관련된 ETF가 있습니다. Vanguard가 보유 했다는 것은 현재 주식이 저평가 되었고 향후 유망하다고 판단 했다는것이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고 들어가는게 좋습니다. VBR에 포함된 주식 차트를 보면 폭락의 흔적이 있는데, Vangaurd측에서 폭락때 매수한것 아닌지도, 지금 사도 괜찮을지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꼭 Vanguard가 아니더라도 어떤 회사 혹은 개인이 대주주인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매도시점 잡기*
1. 급등했던 해당 소식이 단발성재료인 경우 당일 매도
2. 2연속 혹은 3연속 -3%이상씩 떨어지는 경우, 10%이상 떨어지는 경우
더 이상 주가를 지지해주는 이슈나 세력이 없습니다 도망치세요~~~ 도망치고 충분한 바닥을 다졌을때 다시 들어가서 안전하게 다시 매수시점을 잡읍시다. 하락 하는 경우에 지지해주는 세력이 있는것을 확인 하는것은 차트를 봐도 되지만 가장 쉬운것은 webull에서 특정 가격에 과하게 많은 수의 매수가 걸려있는것을 확인합니다. 혹시나 그 지점이 깨지고 더 이상 지지점이 없다면 폭락 할 수 있으니 그 바로 밑의 가격에 매도를 걸어두는거도 더 큰 손실을 막을 수 있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3. 특정일에 어떠한 이벤트 때문에 기대감에 지속적으로 오른 경우 이벤트 2~3일 전에 매도
해당 이벤트 후 결과가 잘 나오면 주가가 더 오를수는 있지만 결과와 상관없이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4. 물주가 자본으로 쏘아올린것인지, 이슈가 있어서 오른것인지 구분하기
물주가 자본으로 쏘는 경우 계단식 매매라고 주가가 올라갈수록 익절하려는 저항이 거세져 계단형태를 띄기 됩니다. 반면 오른쪽의 애플의 경우 뾰족뾰족하게 분포도가 형성되어 있죠. 물론 이런거만 가지고 판단 할수는 없고 경험적 감각이 좀 필요한부분입니다. 물주가 쏘는 경우는 물주가 계속 쏠때까지 들고있어도 되고 더 이상 주가를 받쳐주는 매수세가 없으면 매도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슈가 원인인 경우 그 이슈가 무엇인지 정보를 모으는데 우선시 하는게 좋습니다.
위에 써진대로 매수 매도를 한다고 무조건 먹는다는 보장도 없고, 자신이 생각하기에 좋은 주식을 샀다고 하더라도 어떤 정보를 접해서 샀느냐에 따라 그것이 보장되기도 어렵습니다. 최근 계속해서 미친듯이 폭등하고 있는 드론관련주인 uavs, eh같은 경우 이유도 알수 없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어 매도 시점도 잡기 참 어렵습니다. 제가 정한 방식대로 하면 20%이상 두번정도 먹고 나올텐데요. 계속해서 위로 쏘기 위해서 장초에 -10% 박고 물량을 모아 다시 쏘는 패턴의 반복이 되고 있기때문이죠... 이런 특별한 경우 많은 수익을 먹을 수 없다는점은 아쉽지만, 이런 경우는 드문경우니 이성적으로 대처해야 무릎에 사고 어깨에 팔 수 있게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위에서 말한 -10%박고 다시 쏘는 패턴이 계속 될꺼라 믿어버리면 결국 자기 평단까지 폭락할때까지 붙잡다가 이도저도 안될수도 있으니깐요 ㅎㅎ
잡주의 경우 회사에 관련된 정보도 적고 알 수 있는게 적습니다. 또한 주식의 움직임이 근본주보다 크기 때문에 매일 신경써서 봐야하는 스트레스가 크지요. 주식의 우리가 잡주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는 이유는 당연히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에 대한 크나큰 꿈이겠지요. 잡주는 패가망신의 지름길이기 때문에 물젓기 절대 하지 마시고 좋은 시점에 사고팔아서 큰 수익률을 내시길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보려고 정리하는 테마별 주식티커 (0) | 2021.01.23 |
---|---|
나만보려고 정리하는 자주 보는 미국 ETF 정리 (0) | 2021.01.23 |
주식 매매 전략 정리(작성중) (0) | 2021.01.19 |
은행 이자보다 높은 수익률!! 배당주사기 (1) | 2020.09.10 |
내가 주식을 시작한 이유 (2) | 2020.09.09 |